32평 아파트에 도배와 장판을 새로 하려는 분들이 제일 먼저 궁금해하는 건 실제 비용이에요. 업체에 따라 천차만별이고, 자재나 공임에 따라 결과도 다르기 때문에 막연하게 검색만 하다 보면 감만 흐려지기 십상이거든요. 이 글에서는 제가 직접 시공해 본 실제 견적과 함께, 어떤 선택이 더 현명한지 비교해서 알려드릴게요.
1. 전체 시공 범위에 따른 가격 차이
1) 거실과 방 전체 시공 여부
일반적으로 32평 아파트는 방 3개에 거실, 주방, 욕실 2개 구조예요. 여기서 도배와 장판을 모두 새로 한다면 전체 시공이 필요하죠. 그런데 꼭 전부 다 바꿔야 할까요? 대부분 거실과 주방은 상대적으로 덜 닳기 때문에 방 3곳만 시공하는 경우도 많아요. 저도 처음엔 전체를 바꾸려다가 실측 후 방만 교체하기로 했고, 이 선택 덕에 비용을 100만 원 가까이 줄일 수 있었어요.
2) 벽지 종류에 따른 차이
도배는 합지 벽지냐 실크 벽지냐에 따라 금액이 완전히 달라져요. 합지는 보통 평당 8천~1만 원, 실크는 1만5천~2만 원까지 가거든요. 실크는 얼룩이 덜 타고 고급스러운데 가격이 부담되죠. 저는 안방만 실크로, 나머지는 합지로 했는데 이 조합도 꽤 괜찮더라고요. 중요한 건 생활 패턴과 예산에 따라 실용적으로 고르는 거예요.
3) 장판의 두께와 브랜드
장판도 마찬가지예요. 국산 일반 장판은 평당 1만 원 내외지만 LG하우시스 같은 브랜드 제품은 1만5천~2만 원까지 가요. 두께도 2mm냐 3mm냐에 따라 가격이 달라지고요. 저는 아이가 있어서 충격 흡수가 되는 3mm 제품을 골랐는데, 소음도 덜 나고 촉감도 부드러워서 만족스러웠어요.
도배 장판 시공 전 꼭 고려해야 할 포인트
- 전체 시공이 필요한지, 부분 시공이 괜찮은지 판단
- 벽지는 합지와 실크의 차이를 정확히 파악
- 장판은 두께와 방음, 단열 기능까지 고려
- 견적 요청 전 실측 정보를 업체에 정확히 전달
2. 직접 견적 비교한 실제 사례
1) 방문 견적 VS 전화 견적
직접 세 군데 업체에 견적을 받아봤어요. 첫 번째는 전화로 평수만 알려주고 받은 견적, 두 번째는 직접 실측 방문 후 받은 견적, 세 번째는 인터넷 카페 시공 후기 보고 문의한 곳이었죠. 놀랍게도 전화 견적과 방문 견적은 차이가 50만 원 이상 났어요. 현장에 와서 벽면 상태, 곰팡이 여부, 몰딩 난이도 등을 체크해야 정확한 비용이 나오더라고요.
2) 평당 가격 기준 정리
방문 견적 기준으로 32평 전체 도배 장판을 시공한다고 했을 때, 아래와 같은 단가가 나왔어요.
항목 | 합지 벽지 | 실크 벽지 | 장판 |
---|---|---|---|
평당 단가 | 8,000원 | 17,000원 | 12,000원 |
총비용(32평 기준) | 256,000원 | 544,000원 | 384,000원 |
추가 비용 | 몰딩, 곰팡이 제거, 걸레받이 제거 등 30~80만 원 |
3) 업체 선정 시 고려할 점
인터넷에 후기가 많은 업체를 기준으로 선택했는데요. 시공한 분이 얼마나 꼼꼼한지도 중요하지만, 상담할 때 본인의 요구를 잘 들어주는지도 큰 포인트예요. 저는 도배지를 고를 때 "이건 좀 촌스러워요"라고 솔직히 말해주셔서 신뢰가 갔어요. 결국 가격도 중요하지만 사람 보는 눈도 필요하더라고요.
실제 시공 후기에서 가장 많이 언급된 팁
- 몰딩과 걸레받이 작업 여부 확인 필수
- 하루만에 끝내지 말고, 최소 이틀 일정 확보
- 아트월이나 포인트 벽은 미리 계획하기
- 반려동물 있을 경우 냄새 잔류 고려해야 함
3. 실제 시공 후기와 비용 정리
1) 제 경우 도배 장판 전체 비용
32평 아파트에서 실크 벽지는 안방만, 나머지는 합지로 했고 장판은 국산 3mm로 전체 시공했어요. 견적은 다음과 같았어요.
- 도배: 약 50만 원 (방 3, 거실 포함 일부)
- 장판: 약 45만 원 (몰딩 포함)
- 추가 작업(문틀, 걸레받이 제거 등): 35만 원
총 130만 원 초반대에서 마무리됐습니다. 일부는 셀프 시공으로 절감한 것도 있어요.
2) 셀프 시공 고려한 경우
시간이 있거나 DIY에 익숙한 분들은 셀프 도배, 셀프 장판도 가능하긴 해요. 재료는 인터넷에서 쉽게 구할 수 있고, 벽지 한 롤당 2~3만 원 정도예요. 다만 장판은 자르고 붙이는 게 쉽지 않아서 비추해요. 특히 몰딩 작업은 장비가 없으면 마감이 지저분해질 수 있거든요.
3) 실제 시공 후 느낀 점
확실히 새로 도배하고 장판을 바꾸니까 분위기가 달라져요. 특히 실크 벽지는 은은한 광택 덕에 조명과 잘 어울리고, 합지는 깔끔한 느낌이에요. 장판은 3mm로 하길 정말 잘했다고 생각한 게, 바닥에 앉아도 푹신하고 소음이 확 줄었어요. 자재를 아끼기보단 우리 집 환경에 맞는 걸 고르는 게 포인트 같아요.
4. 상황별 맞춤 전략과 선택 기준
1) 거주 중 시공과 이사 전 시공 비교
거주 중일 때 도배 장판을 새로 하는 건 쉽지 않아요. 가구 이동, 먼지, 냄새 다 감수해야 하거든요. 실제로 저는 첫 집은 이사 전에 시공했고, 두 번째는 거주 중에 했는데요. 차이가 꽤 크더라고요. 이사 전은 하루 만에 끝났지만, 거주 중 시공은 이틀 동안 집 안이 엉망이 됐어요. 특히 아이가 있다면 무조건 이사 전 시공을 추천해요. 반대로 예산이 빠듯한 경우엔 방 하나씩 나눠서 순차 시공도 가능하죠.
2) 입주청소와 동시 진행 여부
입주청소와 도배 장판 시공을 같이 하려는 분들도 있어요. 근데 이건 순서를 잘못 잡으면 낭패 보기 쉽거든요. 보통은 장판 → 도배 → 입주청소 순으로 진행해야 돼요. 청소 후 도배하면 벽지가 다 더러워지더라고요. 그리고 장판 위에 바로 도배를 하다 보면 본드 자국이나 분진이 남을 수 있어서, 마감 상태를 꼼꼼히 확인하는 게 중요해요.
3) 예산이 부족할 때 대처 방법
견적이 예상보다 높게 나오면 당황스러울 수 있어요. 그럴 땐 우선순위를 정해야 해요. 제 경우엔 안방 도배만 실크로 바꾸고, 장판은 거실과 안방만 시공했어요. 나머지 방은 기존 장판이 깨끗해서 그대로 뒀거든요. 덕분에 40만 원 정도 아낄 수 있었죠. 그리고 지역 커뮤니티에서 공동구매나 단지별 공동 시공 문의해 보면 좋은 조건에 시공할 수 있어요.
상황 | 추천 전략 | 주의사항 |
---|---|---|
이사 전 시공 | 전체 시공 + 하루 일정 가능 | 도배 후 입주청소 필수 |
거주 중 시공 | 방별 순차 시공 또는 이틀 작업 | 가구 이동과 먼지 대비 필요 |
예산 부족 | 부분 시공, 재료 혼합 활용 | 견적 전 상세 협의 필요 |
5. 시공 이후 실제 관리 팁과 후기 정리
1) 벽지와 장판 유지 관리 방법
도배한 벽지는 처음 2주는 물걸레 사용 금지예요. 곰팡이나 들뜸이 생길 수 있거든요. 그리고 장판은 바퀴 달린 가구를 바로 밀면 자국이 생기기 쉬워요. 저도 책상을 밀었다가 눌림 자국이 남아 후회했거든요. 가능하면 가구 하단에 펠트지를 붙이거나 고무받침을 사용하면 훨씬 오래 가더라고요.
2) 불만 후기에서 배운 체크리스트
시공 후 불만족 후기를 보면 공통된 원인이 있어요. 마감 불량, 접착제 냄새, 예상보다 짧은 내구성 같은 거요. 저도 한 번은 도배지가 하루 만에 벌어졌는데, 알고 보니 습기 있는 벽면에 바로 시공해서 그랬더라고요. 시공 전에 반드시 벽 상태를 점검받고, 습기 제거제나 곰팡이 방지제를 사용하는 게 필수예요.
3) 도배 장판만으로 인테리어 효과 누리기
벽과 바닥만 바꿨는데도 분위기가 완전히 달라졌다는 후기 많잖아요? 그게 진짜예요. 저는 도배 장판 후에 집 사진 찍어서 지인들에게 보여줬더니 리모델링한 줄 알더라고요. 특히 톤 조합이 중요해요. 밝은 회색 벽지에 화이트 베이지 장판을 매치하면, 훨씬 넓고 세련된 느낌이 나거든요.
도배 장판 시공 후 꼭 지켜야 할 관리법
- 도배 후 최소 2주간 물기 금지
- 장판 위 가구 이동 시 고무패드 사용
- 곰팡이 방지제 사전 도포 권장
- 습기 높은 벽면은 시공 전 처리 필수
- 첫달은 창문 자주 열어 냄새 제거
32평 아파트 도배 장판 자주하는 질문
Q. 32평 아파트 전체 도배 장판 시 평균 비용은 얼마인가요?
자재 선택과 시공 범위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전체 시공 기준 평균 130만 원에서 180만 원 사이예요. 합지 벽지와 국산 장판 기준으로 하면 130만 원 전후로 마무리되며, 실크 벽지나 브랜드 장판 사용 시 50만 원 이상 더 들 수 있어요.
Q. 실크 벽지가 정말 합지보다 더 좋은가요?
실크 벽지는 얼룩 방지와 내구성이 뛰어나고 광택감이 있어 고급스러운 느낌을 줘요. 하지만 가격이 두 배 가까이 되기 때문에 꼭 필요한 공간, 예를 들면 안방이나 거실 포인트 벽 정도만 사용하는 것도 좋은 전략이에요.
Q. 시공 시간은 얼마나 걸리나요?
일반적인 32평 아파트 기준으로, 장판과 도배를 동시에 하면 이틀 정도 소요돼요. 빠르면 하루 안에도 끝나지만, 습기 상태나 몰딩 제거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요. 가능하면 하루 여유를 두는 게 좋아요.
Q. 셀프 도배나 장판은 얼마나 저렴한가요?
셀프 시공은 자재비만 들기 때문에 반값 이하로 끝낼 수 있어요. 벽지 한 롤은 3만 원 내외, 장판은 평당 1만 원 정도지만, 시간과 체력 소모가 크고 마감이 깔끔하지 않을 수 있어요. 특히 장판은 전문가 시공을 추천드려요.
Q. 업체 선정 시 주의할 점은 무엇인가요?
인터넷 후기만 믿지 말고, 직접 전화 상담하거나 방문 상담을 통해 실측 견적을 받아보는 게 중요해요. 시공 전후 사진을 요청하거나, 계약서에 마감 조건을 명시하면 불만족을 줄일 수 있어요.
◀ 댓글 ▶